[2021.06.10.木.남c.]
-----y--------
※ 6월 민주 항쟁
: 4·13 호헌 조치와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그리고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사건 등이 도화선이 되어 6월 10일 이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
※ 전국 차차 흐려져 밤부터 비…더위 주춤...제주 최대 200㎜...남해안 제주 강풍 조심 (SR타임스)
※ 전국 밤부터 오후부터 비 소식…미세먼지 ‘좋음’ (SBS비즈)
--------s-----
◆업계◑정책●경제○주거◈분양
《 Headline 》
◆ 김영철 인창개발 대표 “신세계와 상업시설 개발 시너지” (더벨)
- 9000억 한도 대출약정 체결·8월 분양 예정…현대건설과 파트너십 공고
★ "시세차익만 140억"… '연예계 빌딩 부자' 전지현, 논현동 빌딩 팔았다 (머니S)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60917118060379&type=4&code=w0903&code2=
○ 전세난민의 울분 “대출 막아 집도 살 수 없어”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1/06/10/H32T63RXEZHLHKFT3BJNV6DEBY/
- [고강도 부동산 규제 1년] [上] ‘주거 사다리’ 끊은 文정부
# 광주 건물 붕괴 사망자 9명으로 늘어··· 8명은 구조 (조선일보)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1/06/09/RXPSLLGPOJETLK4KS74XYOAT54/
# 국내 첫 스타트업 은행 토스뱅크…3호 인터넷은행으로 9월 출범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4078531
◈ 재개발·재건축 투기 억제…안전진단 통과하면 집 사도 조합원 분양 못 받는다 (경향비즈)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106092158005&code=920202&med_id=khan
- 국토부·서울시 주택정책 간담회
-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시점 단축
- 용산 캠프킴 신규택지 사업 등
- 도심 주택공급 확대 협력 ‘합의’
◈ 아파트 청약, 경쟁률 낮아지고 가점은 오르고 (EBN)
https://www.ebn.co.kr/news/view/1487064
- 수요 줄며 경쟁률 하락
- 무주택자 가세해 평균가점은 상승
◑ "정비사업 정상화 시그널…재산권 침해·현금부자 잔치 '부작용' 우려"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334270
-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 시기, 안전진단 이후 단계로 앞당긴다
- "재개발 입주권 거래량 감소…매물 잠김 현상 높은 호가 고착화"
◆ 공유오피스, 포스트 코로나 수요 증가 주목 (연합인포맥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1433
# 美증시, 물가 지표 경계 속 하락…다우 0.44%↓ [인더머니] (헤럴드경제)
# 美 물가지표 발표 앞두고 기술주↑·은행주↓‥가상화폐 강세 (아시아경제)
# 윤희숙 “文정부 4년 빚 410조…68년간 660조였는데” (동아닷컴)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10609/107349085/2
- “세금 더 걷히면 빚부터 갚는게 상식”
- “두고두고 청년세대의 어깨를 으스러뜨릴 빚”
-------- ◆ 업 계 --------
◆ [Why]매물로 나온 대우건설, 대기업은 왜 관심 없나 (뉴스웨이)
http://www.newsway.kr/news/view?ud=2021060902510935396
- 올해 정비사업 수주 2위, ‘매력적인 매물’로 변신
- 작년부터 호실적 이어가···주가도 9000원대 껑충
- 출사표 ‘0건’ 공중분해된 금호그룹 트라우마 여전
- 시너지조차 의문, 되려 ‘1+1=마이너스’ 가능성 커
- 주택 분양시장 호황, 언제까지 이어질지도 의문도
◆ 중견 건설사의 변곡점 '공시대상기업집단' (더벨)
-yS
◆ 미래에셋증권, PI투자 확대...부동산개발 인큐베이터 도약 (더벨)
- ⑥PI 건당 30억 부문 심의 신속집행, 인적 네트워크 활용 딜소싱·리스크관리 병행
◆ 하나자산신탁, DGB생명 부산사옥 매각 추진 (더벨)
- 하나트러스트2호, 내년 리츠 만기…중소형 매물 흥행 관심
◆ 갖다 쓸 철근도 없는데… 타워크레인 파업까지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6091758145445
- 건설현장 '엎친 데 덮친 격'
- 파업 일주일 이상 넘어가면
- 공기 맞추는데 차질 불가피
- 시멘트 가격 인상 움직임도
-------- ◑ 정 책 --------
◑ 오세훈 "부동산 특이동향 없으면 재건축 공급 확대"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60915165291931&type=2&sec=estate&pDepth2=Etotal
- "주택공급에 민간이냐 공공이냐 중요하지 않다"…공조 강화할 듯
◑ 국토부-서울시, 주택공급 공동전선 펼친다 (머니투데이방송)
https://news.mtn.co.kr/v/2021060916561195480
◑ '집값은 잡자' 정부와 서울시의 오월동주…순탄하게 이어질까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0609155900003?section=economy/real-estate
◑ 장기전세주택, 3080 대책과 연계 공급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80246629080080&mediaCodeNo=257
- SH-LH 물량 중 장기전세주택 공급
- 장기 전세주택 기금 출·융자 지원
◑ 생활형 숙박시설 규제가 능사일까 (더벨)
-------- ● 경 제 --------
● [단독] 전셋값 폭등했는데 더 오를 거 대비하는 금융위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334296
- 전셋값 더 오른다 판단해 주금공 전세보증 한도 10억원 미리 반영
- 정부, 비정상적 전셋값 잡지 못하고 대출·보증 한도 올리기에 급급
● 1주택자도 차익 5억 넘으면 양도세 더 낸다..."이사도 못간다" 1주택자·고령층 불만 (뉴스핌)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609000918
- 여당, 장기보유공제 혜택 축소 추진 '개악'
- 1가구 1주택자 세부담 증가 불이익·매물 잠김 확대 우려
● “소형은 애물단지됐는데”…'아파트 대체재' 중대형 오피스텔 몸값 연일 ‘상승세’ (조선일보)
https://biz.chosun.com/real_estate/real_estate_general/2021/06/09/FK3NMFYAFRGX7IJKIH7XWOZNZY/
● 직장인보다 소득세 낮은 美 부호들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6090693i
● 세계 경제성장률 역대급 반등 전망…경제회복 기지개 켜나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10609152712346
- WP,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5.6%' 제시…"성장률 반등, 80년 만에 최고"
- 국내 GDP 성장률, 속보치보다 0.1%p ↑···"올해 연 성장률 4.2%도 가능"
● "한국 시장 잡으러 가자"…중국 기업이 몰려온다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60922131
- 알리바바, 벤처 지원해 점유율↑
- 텐센트는 게임 업체 집중공략
- 해외업체 점유율 이미 절반 넘어
- 中공룡들 가세로 '엎친데 덮친격'
-------- ○ 주 거 --------
○ 풍선효과·재건축 기대감에···노원 20평형 10억 육박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KJSAARD/GB01
- 재건축 추진 단지 23곳 달해
- 평형마다 신고가 거래 행진
- 허가제 피해 풍선효과도 한몫
- 가격 상승률 6주째 ‘서울 1위’
○ 압구정 현대 37억에 매매… 또 신고가 경신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609515537
- 거래허가구역 지정 후 첫 거래… 규제 무색
- 서울 노후 아파트값 신축보다 2배 상승
○ ‘서민 아파트 멸종’ 노·도·강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 1년간 37.5% 상승 (아시아투데이)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10609010005320
- 도봉구 5월 1년새 41% 올라 자치구 중 '최고'
- 정부 정책에 개발호재까지 더해지며 가격 상승
○ "한 달 새 1억 올라"…강북 9억 이하 중저가 아파트 사라진다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09_0001471135
- 집값 '키 맞추기'…노·도·강 아파트값 1년 새 38% 급등
- 매매·전세 동시 상승…주택 수요 중저가 아파트 집중
-------- ◈ 분 양 --------
◈ 실수요자 뛰어든 청약시장...당첨 가점 올랐다 (대한경제)
http://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106091342111460171
- 올 커트라인 평균 32점
- 서울, 60점으로 '최고'
- 세종 59점ㆍ대전 50점
- 경쟁률은 19대 1로 하락
◈ 청약경쟁률 떨어졌는데…당첨 커트라인은 되레 올라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09_0001470556&cid=10400
- 부동산114, 올해 아파트 청약 경쟁률 분석 자료
- 2020년 27대 1→올해 19대 1로 경쟁률 하락
- 당첨 커트라인 평균은 32점으로 되레 높아져
◈ 서울 평균 60점·세종 59점…청약경쟁률 낮아져도 당첨가점 더 올랐다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1/06/557482/
- 무주택자 참여늘며 점수 `쑥`
- 서울 평균 60점·세종 59점
◈ 청약 규제 강화…아파트 경쟁률 낮아졌다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60922341
- 수도권 36대 1 → 올해 33대 1
-yS
◈ 미분양 관리가 올린 집값?… “위험관리 하다가 주택 수급 조절 실패”
https://biz.chosun.com/real_estate/real_estate_general/2021/06/10/7UKEDSHJMRBWXFRV4BJL4GZY7Y/
◈ 미분양 청정지역 되나… ‘부•울•경’ 부동산 시장 ‘후끈’ (Real Cast)
http://www.rcast.co.kr/sub02.php?BRD_ID=1623216515902
◈ [실전재테크] "사전청약 피하자" 6월 전국에서 4만5000가구 분양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article/development-sell/2021060814525407278
- 지난해 6월 대비 총가구수 58%, 일반분양은 79% 증가
- 경기도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집중 공급
◈ 사전청약 인천 계양, 분양가 심상찮다 (EBN)
https://www.ebn.co.kr/news/view/1486992
- 상대적 저평가로 인한 수요 증가
- 3기신도시 효과에 계양 인근 집값도 급등
[금융/금전_금융투자자(펀드)]
▶ 펀드(집합투자기구)의 종류
Q. 펀드(집합투자기구)의 종류가 너무 많아서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펀드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A. 펀드(집합투자기구)의 종류는 투자대상이나 투자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펀드는 개방여부에 따라 개방형펀드와 폐쇄형 펀드, 투자대상에 따라 주식형펀드와 채권형펀드, 혼합형펀드, 초단기펀드(MMF), 파생상품펀드 등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개방형 및 폐쇄형 집합투자기구
☞ 집합투자기구는 투자자에게 환매권을 주는지 여부에 따라서 환매권을 주는 개방형 집합투자기구와 주지 않는 폐쇄형 집합투자기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집합투자기구는 환매권을 인정하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환매권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라 합니다.
☞ 투자신탁의 집합투자업자 또는 투자회사는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의 집합투자증권을 최초로 발행한 날부터 90일 이내에 그 집합투자증권을 증권시장에 상장해야 합니다.
◇ 투자대상 및 투자성향에 따른 분류
☞ 집합투자기구는 투자하는 대상이나 투자성향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투자대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초단기(MMF), 파생상품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yS
▶ 펀드가입 시 유의사항
Q. 여유자금이 있어서 적립식 펀드에 가입하려고 합니다. 펀드가입 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A. 펀드투자는 투자자 스스로 결정하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가 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펀드는 수익률을 보장하는 상품이 아니므로,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펀드가입 전, 재무상황 및 투자성향에 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야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펀드를 추천 받을 수 있으며, 펀드 투자설명서의 내용을 꼼꼼히 읽고 중요한 사항은 판매직원에게 반드시 설명을 들어야 합니다.
◇ 판매자의 설명의무
☞ 집합투자증권을 판매하는 자는 일반투자자를 상대로 투자권유를 하는 경우에는 금융투자상품의 내용, 투자에 따르는 위험 등을 일반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합니다.
◇ 집합투자증권 판매자의 고객파악 의무(Know your customer rule)
☞ 집합투자증권을 판매하는 자는 일반투자자에게 투자권유를 하기 전에 면담·질문 등을 통해 일반투자자의 투자목적·재산상황 및 투자경험 등의 정보를 파악하고, 일반투자자로부터 서명, 기명날인, 녹취, 전자우편, 우편, 전화자동응답시스템의 방법으로 확인을 받아 이를 유지·관리해야 하며, 확인받은 내용을 투자자에게 지체 없이 제공해야 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판매하는 자는 일반투자자에게 투자권유를 하지 않고 집합투자기구의 집합투자증권을 판매하려는 경우에는 면담·질문 등을 통해 그 일반투자자의 투자목적·재산상황 및 투자경험 등의 정보를 파악해야 합니다.
◇ 부당권유, 불건전 영업행위 등의 금지
☞ 이 밖에도 집합투자증권을 판매하는 자는 투자자에게 부당한 권유를 해서는 안되며, 빈번하거나 과도하게 투자권유를 하는 행위나 재산상 이익을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행위, 수익률을 보장하는 행위, 손실보전 및 이익보장 행위, 판매대가를 부당한 수수료를 요구하는 행위 등 불건전 영업행위를 해서는 안됩니다.
6월 11일 오늘의 부동산 용어 (0) | 2021.06.11 |
---|---|
6월 11일 오늘의 부동산 뉴스 소식 (0) | 2021.06.11 |
6월 10일 오늘의 부동산 용어 (0) | 2021.06.10 |
6월 9일 오늘의 부동산 용어 (0) | 2021.06.09 |
6월 9일 오늘의 부동산 뉴스 소식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