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1) 금리의 의의
금리란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말하며 이자율라고도 한다. 융자시의 금리는 대출기간 중 이자율이 일정한 고정금리제도와 대출기간 중 이자율이 변동하는 변동금리제도가 있다.
2) 고정금리제도
ㄱ. 전체 대출기간 동안 처음 고정한 이자율을 적용하는 저당대출로 변동금리제도에 비하여 초기 대출금리가 높다.
ㄴ. 원금균등상환,원리금균등상환,점증(체증식)상환 등이 있다.
ㄷ. 고정금리제도하의 시장이자율 변화
계약이자율 < 시장이자율(시장이자율 상승) : 차입자는 기존융자 유지하는 것이 유리
계약이자율 > 시장이자율(시장이자율 하락) : 차입자는 조기상환(만기 전 변제) 유리
3) 변동금리제도
ㄱ. 대출기간 동안 이자율이 변동하는 방식을 말하며 고정금리제도에 비하여 초기대출금리가 낮다.
ㄴ. 이자율조정주기가 짧을수록 대출자가 유리하고, 조정주기가 길수록 차입자에 유리하다.
ㄷ. 이자율은 기준금리(지표,cd,cofix,변동)와 가산금리(마진,불변)의 합으로 결정된다.
주택저당담보증권의 다양한 종류는? (0) | 2022.03.10 |
---|---|
부동산 저당의 유동화 제도란? (0) | 2022.03.09 |
부동산 금융에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3.07 |
할인현금수지분석법이란? (0) | 2022.03.06 |
부동산시장의 영업현금 흐름은?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