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8.수.남c.]
--y--------
※ 대체로 흐림, 오후부터 저녁 사이 가끔 비, 예상 강우량 5~10mm...기온 20~30도 (핀포인트)
※ 세계 문해의 날
: 문자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인 문해력을 교육의 권리를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단계로 간주하고, 문맹 퇴치를 위한 활동을 장려
-----s-----
◆업계◑정책●경제○주거◈분양
《 Headline 》
# [단독]① ‘이재명 표적’ 수사 의혹…“별건 수사로 압박” (KBS뉴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74153
# 경찰, 유튜브 ‘가로세로연구소’ 강용석·김세의 체포 (한겨례)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10868.html
-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자녀와 이인영 통일부 장관의 자녀 관련 의혹을 제기해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
● [동방인어] 국민지원금 때문에··· 물가 걱정 (아주경제)
◑ 문 대통령 "태양광·풍력 설비, 지금보다 두배 이상 늘릴 것" (한경정치)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90776607
◑ 국책연구원도 “정부, 국민에 부동산 실정 책임 전가” (중앙일보)
◑ "부동산 실패가 국민 탓?" 뼈 때리는 국책연구원의 文정부 정책 비판 (한국일보)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90717230000081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 총서에 날 선 비판
- "시장 변화 간과한 채 규제 중심 부동산관 답습"
- "실정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순서 잘못됐다"
◑ 국책연구기관들 “부동산 정책 실패...국민 향해 과세 칼 들어” (아시아투데이)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10907010003727
- 정부의 정책 실패가 원인이었다는 점 지적
● “곳간 비어간다”→”재정 탄탄하다” 홍남기, 고민정 반박 발언 번복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2021/09/07/TWVB73E76NEVJPYSOCLCH556C4/
- 고민정 “곳간에 곡식을 쌓아두는 이유가 뭐냐”에
“쌓여가는 게 아니라 비어가고 있다”고 했다가
- 하루 만에 “국가채무 수준 선진국 절반 이하”
- 野 “소신 내팽개치고 말 바꾼 거 아니면 국민에게 거짓말”
○ 아파트는 엄두도 안나… 빌라로 내몰리는 전세난민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9071849084810
- 아파트 전셋값 급등·대출 규제로
- 빌라와 전세계약 건수 격차 감소
- 전세가율 높아 '깡통주택' 위험도
◑ 성남 재개발 예정지에 집 43채 사둔 LH직원 구속…150억원 차익(종합)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0907086951061?section=economy/real-estate
- 내부정보 이용해 92억 들여 매입…부동산업자 2명도 구속
- 전주 도시개발지구 내 골프연습장 헐값에 사들여 100억원 차익 LH직원 등도 적발
-------- ◆ 업 계 --------
◆ 양재동 옛 화물터미널 부지개발, 하림 손 들어줬지만 여전히 '답보'…후속도 '미정' (뉴스핌)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907000977
- 지구단위계획 수립 위한 교통영향평가 일정 미정…"서초구 요정 아직"
◆ 대우조선해양건설, 476억 경남 통영 공동주택 공급 (더벨)
- 자연 친화적 환경 장점, 인근 지역 개발 호재도 풍부
◆ 하나투어, 사옥 매각가 '940억→1170억' 유동성 숨통 (더벨)
- 현금곳간 1000억 다시 회복, 첫 거래 불발 후 다수 업체 러브콜
◆ 야심차게 나온 ‘누구나집’…건설사들 시큰둥한 이유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20806629177824&mediaCodeNo=257
- 건설사가 사업자로 참여해야 성공
- 10년 뒤 분양가 지금 정해…건설사 수익 제한
- 사업비 아끼려 낮은 품질 공급 우려
- 건설사 “저품질, 이미지 훼손 우려”
- 10년 뒤 주택 경기 ‘리스크’도
-------- ◑ 정 책 --------
◑ 경실련 "누구나집, 공기업·민간업자 땅 장사 허용위한 꼼수"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427279
- 부동산친구 '남c' 카카오톡ID : s2ingsong
◑ [대선후보 부동산 공약 검증 ③이낙연]서울공항 이전 현실성 의문 부작용 ‘우려’ (뉴스웨이)
http://www.newsway.kr/news/view?ud=2021090614411303453
- 서울공항 이전 통한 고도제한 해제로 7만가구 공급
- 50년 모기지, 20~30년 장기전세 등 공급방식 제안
- “서울공항 복합적형태 개발시 7만가구 확보 힘들어”
- “고도제한 해제시 주변 땅값 자극 가능성 매우 높아”
◑ 지방서도 외면당하는 공공재건축…민간제안 통합공모 신청 '0'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9080606223842
-------- ● 경 제 --------
● 홍남기 "금리인상 한 번으로 그치지 않을 것…취약계층 대책 보강하겠다" (에너지경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10907001948539
● "대출 규제? 현금부자에게 무슨 소용"…실수요자 불만 고조 (EBN)
https://www.ebn.co.kr/news/view/1499541
- 실수요 대출 막히자 현금 여력 없는 서민 원성 ↑
- 전문가들 "대출 기준 현실화해야"
● 미국 세입자 절반 "평생 내집 마련 못할 것 같다"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1/09/864604/
● “코로나로 고향길이 고행길” 직장인 2명중 1명 귀성 포기 (강원일보)
- “재확산에 감염될 우려
- 경제적으로도 어려워”
-------- ○ 주 거 --------
○ 서울 아파트 3.3㎡당 4500만원 돌파…강남·서초는 7천 넘어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07_0001574799&cid=10400
○ 서울 전셋값 5000만원 이하 임대사업자, 보증보험 가입 면제 (머니투데이방송)
https://news.mtn.co.kr/v/2021090713465942098
○ 서울 전세금 5000만원 이하면 임대사업자 보증가입 면제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article/realestate-general/2021090711022899411
- 민간임대주택 특별법 개정안 14일 시행
- 임차인 보증 수수료 부담해도 가입면제
- 부채비율 상향도 검토…HUG 용역 발주
○ 종로구 국민평형도 20억, 서초구 평당1억 속출···다시 오르는 서울 고가 아파트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DFXCBPY/GB03
- 경희궁 자이3차 전용 84㎡ 20.5억
- 광진구 이어 비강남 20억 클럽 확산
- 집값 상향 평준화에 똘똘한 한채 선호
- 서울 고가 아파트 수요 다시 '꿈틀’
○ "그나마 싸잖아요"…마곡 들썩이자 끝자락 방화동도 '쑥'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9079063e
- 지하철 5호선 방화·개화산역 인근 아파트값 상승
- "마이스 복합단지·김포국제공항 등 개발 영향"
- "개발 초기 단계, 긴 호흡으로 봐야" 지적도
○ 지역 불문 막 뛰는 집값…무주택 서민 상실감 확산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907514709
- 전국 아파트 3.3㎡당 2000만원 돌파
- KB국민銀·부동산114 조사 결과
- 각각 2030만원·2050만원 집계
- 서울은 각 4569만원·4002만원
- 서초, 강남 이어 7000만원 넘겨
- 전세가·매매가 격차도 더 커져
- 대선 등 고려 상승세 지속 전망
○ 생애최초·신혼특공, 11월부터 '1인가구·무자녀신혼·고소득가구'에도 문 열린다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DV3L305
- 생초·신혼 특공에 30% 추첨제 도입
- 추첨물량에 소득·혼인·자녀수 상관없이 선정
- 70% 탈락 신청자와 함께 추첨해 높은 경쟁률 전망
-------- ◈ 분 양 --------
◈ 분양경기 기대감 다소 진정...전망치 3개월째 하락 (건설경제)
http://m.dnews.co.kr/m_home/cna_view.jsp?cna=7&idxno=202109071111101620830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당첨자 10명 중 7명은 해당 지역 거주자 (경향비즈)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109072138015&code=920202&med_id=khan
- 서울지역 거주자, 신청 많았지만
- 당첨 비율 낮아 인구 분산 효과는 미미
◈ 30대 '패닉바잉' 이유 있었다..청약당첨 5년간 37%→15%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0714284465553&pDepth2=Etotal
◈ "외지인이 싹쓸이…투기판 됐다" 뿔난 세종주민들 목소리 커진다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1/09/863923/
- 전국서 몰려 청약 경쟁률 뛰고
- 실거주 의무 없어 투기판 변질
◈ 文정부 추첨제 청약 당첨자 대폭 감소…30대 이하 드물어 (연합인포맥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6327
◈ 청년층 주택청약 기회 많아진다…민간분양 특공에 추첨제 도입
https://land.naver.com/news/breaking.naver
- 신혼부부·생애최초 공급물량의 30% 추첨키로…1인가구도 기회
Q. 매각기일에 최고가 매수신고인으로 결정됐는데 경매 물건의 공유자가 우선매수신고를 했어요. 이렇게 되면 경매 물건은 누구에게 매수되는 건가요?
A. 경매 물건이 공유물인 경우에 그 공유자가 우선매수신고를 하면 법원은 최고가 매수신고인이 있더라도 공유자에게 최고가 매수신고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매각을 허가해야 합니다.
공유자의 우선매수신고가 있으면 최고가 매수신고인은 차순위 매수신고인으로 - 부동산친구 '남c' 카카오톡ID : s2ingsong 보게 되는데, 그 매수신고인은 집행관이 매각기일을 종결한다는 고지를 하기 전까지 차순위 매수신고인의 지위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
◇ 우선매수신고
☞ 공유물지분의 경매에서 채무자가 아닌 다른 공유자가 매각기일까지(집행관이 매각기일을 종결한다는 고지를 하기 전까지) 매수신청보증을 제공하고 최고가 매수신고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채무자의 지분을 우선매수하겠다는 신고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사채도 있었나?? 주택상환사채 용어 알아보기 2탄 (0) | 2021.09.10 |
---|---|
서울 반지하도 이젠 1억대..억억 소리나는 집값 시세 (0) | 2021.09.09 |
10년 누구나집.. 건설사는 반응 시큰둥..청년들 희망고문 이어지나 (0) | 2021.09.07 |
어떤 경우에 주택조합들은 해산을 하게 되는걸까 (0) | 2021.09.06 |
조합들의 경우 조합원은 어떤 경우에 교체가 되나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