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동산투자의 개념
투자란 장래의 불확실한 수익을 목적으로 현재의 확실한 지출을 희생하는 것을 말한다. 투자의 궁극적인 목적은 부의 극대화이며, 투자의 대상이 되는 부동산을 투자성 부동산 또는 수익성 부동산이라고 한다.
2. 지렛대 효과
1) 의의
ㄱ. 타인으로부터 빌린 차입금(부채,타인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자본수익률(지분수익률)의 진폭을 크게 하는 것을 말한다.
ㄴ. 투자금액 대비 차입비율이 클수록 지렛대 효과도 크게 하지만, 지분투자자가 부담하는 금융상 위험도 커진다. 즉, 정의 레버리지 효과를 예상하고 투자했을 때에도 부채비율이 커질수록 경기변동이나 금리변동에 따른 투자위험이 증가한다.
2) 지렛대 효과의 유형
유형
|
효과
|
정(+)의 지렛대 효과
|
지분수익률>총자본수익률>저당수익률(이자율)
|
부(-)의 지렛대 효과
|
지분수익률<총자본수익률<저당수익률
|
중립적(0) 지렛대 효과
|
지분수익률=총자본수익률=저당수익률
|
부동산을 투자할때 가치와 균형을 따져봐야하는 이유는? (0) | 2022.03.03 |
---|---|
부동산의 투자의 다양한 위험성의 존재는? (0) | 2022.03.02 |
공공주택정책에는 어떤 주택들이 있을까? (0) | 2022.02.28 |
우리가 알고 있는 부동산 정책은 뭐가 있을까 (0) | 2022.02.27 |
부동산의 생소한 단어 지역지구제란?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