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29.목.남c.]
-------------
※ 푹푹 찌는 더위… 최고 36도 폭염 지속 (머니S)
-------------
◆업계◑정책●경제○주거◈분양
《 Headline 》
-------- ◆ 업 계 --------
◆ SSG닷컴, 새벽배송의 진화 '한정판 디저트' 특화 (더벨)
- ③물류확충 1일 배송 15만건 확대, 'BTS·방시혁' 앞세워 신시장 공략
◆ 코로나19發 M&A 이변…고래 삼키는 새우들 (대한경제)
http://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107281556537530782
◆ 삼성물산 건설부문, 2분기 영업익 1130억…전년比 23.6% ↓ (뉴스핌)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728001130
- 대형 건설현장 준공 여파…건축 매출 -14.4% 감소
- 회사 전체 2분기 영업이익 4251억…전년比 78.5%↑
◆ GS건설, 상반기 영업익 3,020억원 달성…전년비 10.1% 감소 (머니투데이방송)
https://news.mtn.co.kr/v/2021072815262048882
- 상반기 기준 매출 4조2,460억원, 수주 4조7,980억원 기록
◆ DL이앤씨, '100년' 주택 만드는 페인트 개발 (더벨)
- 콘크리트 탄산화 저항성 향상·고기능 방수성…장수명 주택 실현 가능
◆ 대우조선해양건설, 창원 신촌2구역 아파트 재건축 '첫 수주' (더벨)
- 467억 규모 근린생활시설 건설 "추가 수주도 기대"
◆ 현대건설, 잉카 유적 새 관문 '친체로 신공항 여객터미널 공사' 수주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7281531274040
-------- ◑ 정 책 --------
◑ [뉴스분석]홍남기의 5번째 집값 고점 경고, 시장은 믿지 않는다 (경향비즈)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107281620001&code=920202&med_id=khan
◑ 정부, 'LH 수직분리 개편'에 무게…전문가 의견 분분 (데일리안)
https://www.dailian.co.kr/news/view/1016668/
◑ LH, 지주사 체제로 바뀔 듯…국토부, 수직분리안에 무게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1/07/729551/
- LH 조직개편안 공청회
- 민간전문가들은 반대 쏟아내
◑ 정부, 집 값 폭등 반성 없이 국민 탓...”주택이 공유지?” 홍남기 ‘망언’ 논란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1/07/28/H7EO7AMIDBAH5BDD7EPH2RTZS4/
- 임대차 3법 등 시장 영향 컸던 규제 언급 없어
- “집 값 상승 원인 진단 잘못해 처방도 잘못”
- 홍남기 “공급 부족 않아...협력해달라” 호소
◑ 전력수급, 최대수요 연일 경신에도 안정세…‘원전 3기 조기 투입’ 김부겸 선견지명? (에너지경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10728010004696
- 27일 최대전력 91.5GW 올여름 최대, 공급예비율은 10%대 유지
- 김 총리, 문 대통령에게 전력 피크 우려에 따라 정비중인 원전 3기 조기투입 건의해 재가동
- 원전 추가 투입 없었으면 전력수급 비상단계 발령
◑ 부동산 대책으로 호소문 들고 온 정부···전문가 “의미 없다” (뉴스웨이)
http://www.newsway.kr/news/view?ud=2021072814413470560
- 정부 “집값 계속 오르지 않을 것···공급물량 충분해”
- 공급물량 부족으로 집값 하락 요인 없어 한 목소리
- “집값에 대한 부담감일뿐, 시장에 미치는 영향 적어”
- “집값 고점이더라도 정책 변화 없으면 유지될 것”
- 큰 폭의 금리인상 아닌 이상 집값에 주는 영향 미비
-------- ● 경 제 --------
● 강남 상권은 안정적인데…명동 공실률은 43.3%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728_0001529228&cid=10400
- 부동산원, 2Q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 관광객 의존도 높은 강북 상권 침체 이어가
●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가격지수 하락…투자수익률은 올라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article/trend/2021072811462010526
- 한국부동산원, 2021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 동향 결과 발표
● 상반기 부동산 투자 관심지는…상업용은 마용성·토지는 화성 (연합인포맥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9681
● 中공산당 규제 리스크에....'피바다' 된 중국증시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10728145519399
- 中규제 리스크에 중국·홍콩시장 요동
- 외국인 이탈에 中채권·외환시장도 '출렁'
- 규제 리스크 어디까지? 우려 계속된다
-------- ○ 주 거 --------
○ 집값 급등에 2분기 2.6만명 '脫 서울'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2P37VRKEP/GB01
- 통계청, 인구 이동 통계
- 서울 16개월 연속 순유출
- 5월 출생아는 2만2,000명
- 19개월째 자연감소 이어져
○ "집값 더 오른다"…국민들 심리지수 석 달째 오름세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72856651
- 소비심리는 올 들어 첫 하락
○ “새 임대차법 영향이요? 우려가 1년 새 모두 현실이 됐어요” [부동산360] (해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728000999
- 이달 31일로 임대차3법 도입 1년
- 매물부족·가격상승 불안 가속화
- 해결책 안 보이는데 자화자찬만
○ 알맹이 없는 부동산 담화문에 시장 '냉소' (EBN)
https://www.ebn.co.kr/news/view/1493824
- "집 사지 말라" 호소한 정부…시장은 "알맹이 없는 호소" 평가
- 전문가들 "담화문, 시정 안정에 미치는 영향 미미"
-------- ◈ 분 양 --------
◈ 민간아파트 분양가 4개월 만에 상승세 전환 (강원일보)
http://www.kwnews.co.kr/nview.asp?s=401&aid=221072700024
- 도내 3.3㎡ 당 평균 963만원
- 지난해보다는 55만원 올라
- 춘천·강릉 1,200만원대 나와
- 신규사업 앞둬 더 오를 가능성
◈ 사전청약 늘렸지만 토지보상은 '숙제'…노형욱 "1~2년내 본청약"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386842
- 부동산 시장 안정 위한 조기 공급 '박차'…사전청약 확대
- 토지보상 지연에 공급차질?…국토부 "장애요인 없을 것"
◈ 사전청약 첫날 "뜨거웠다"..1만명 돌파·일부 공급물량 초과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72815433283726&type=2&sec=estate&pDepth2=Etotal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흥행...첫날 1만명 이상 참여 (아시아투데이)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10728010017004
◈ 억대 연봉은 되고 현금 부자는 자격 미달…'알쏭달쏭' 사전청약 (중앙일보)
https://realestate.joins.com/article/article.asp?pno=143873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가이드, 28일부터 특별공급 1주일간 접수
◈ 지방 5대 광역시도 ‘전세대란’ 전셋값 오르고 매물도 없어 (Real Cast)
http://www.rcast.co.kr/sub02.php?BRD_ID=1627430449656
- 지방 5대 광역시 전세가격지수 상승폭, 전국 및 수도권과 비교해 더 높아
- 전세 매물 부족현상 뚜렷... 청약으로 내 집 마련 도전
ㅡㅡㅡ
[주택지구 주변의 시설 확인]
▶ 소규모 주택지구 주변지역의 정비계획 확인
: 국토교통부장관은 주거지역 안에서 100,000㎡ 규모 이하의 주택지구를 “소규모 주택지구”로 지정 또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공공주택 특별법」 제7조제1항).
: 소규모 주택지구를 지정 또는 변경하거나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승인 또는 변경할 때 주택지구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주택지구 또는 공공주택 주변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가로의 정비, 편의시설의 설치 등을 포함한 주변지역 정비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므로(「공공주택 특별법」 제7조의2제1항), 관심 있는 주택지구 주변지역의 정비계획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설치되는 간선시설 확인
: 100호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거나 16,500㎡ 이상의 대지조성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각각 해당 간선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공공주택 특별법」 제25조제1항 및 「주택법」 제28조제1항 본문).
- 지방자치단체 : 도로 및 상하수도시설
- 해당 지역에 전기·통신·가스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자 : 전기시설·통신시설·가스시설 또는 지역난방시설
- 국가 : 우체통
: 이 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주택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도로, 철도, 공원, 녹지, 하수도 및 폐기물처리시설 등을 직접 설치하거나 이를 설치하는 자에게 설치비용을 보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공공주택 특별법」 제25조제2항), 관심 있는 주택지구에 설치되는 간선시설의 종류 및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합니다.
조합 대의원회의 자격과 권한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기. (0) | 2021.07.30 |
---|---|
부동산 집값 국민 탓으로 돌린 정부..전세값 역대급 상승! (0) | 2021.07.30 |
전문관리인 또는 조합임원으로서의 해서는 안될 행동들이란? (0) | 2021.07.28 |
3기 신도시 오늘부터 사전청약 접수.! 지역우선공급에 전세 들썩 (0) | 2021.07.28 |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구역의 조합의 임원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1.07.27 |